자고일어나니코딩왕
자일코의 CODING
자고일어나니코딩왕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64)
    • [Linux]리눅스 (1)
    • [NETWORK]네트워크 (17)
    • [PS] 알고리즘문제풀이 (16)
    • [SQL] (13)
    • [ALGORITHM]알고리즘개념 (9)
    • [DATA_STRUCTURE]자료구조 (1)
    • [PYTHON]파이썬 (0)
    • [정보처리기사] (5)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BIOS #MBR #LILO #Kernel #init
  • 리눅스
  • ssh
  • 리눅스 #파일시스템 #디렉토리
  • virtualbox
  • 원격접속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자고일어나니코딩왕

자일코의 CODING

[NETWORK]#5.전송계층(TRANSPORT LAYER)
[NETWORK]네트워크

[NETWORK]#5.전송계층(TRANSPORT LAYER)

2020. 5. 18. 01:54

전송계층 주소

전송 계층의 역할은 사용자 데이터를 상대 호스트의 상대 프로세스 까지 전달해 주는 것이다.

여기서 프로세스(process)라는 것은 실행되고 있는 사용자의 프로그램의 instance(실재)를 말한다. 하나의 프로그램이라도 여러 개 실행 될 수있다.

Web서버의 프로세스는 클라이언트의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이러한 데이터 교환의 책임을 전송계층이 지게 된다.

전송계층은 하위계층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호스트까지 데이터 전달을 완료 했으므로 남은 일은 식별자를 통해 프로세스를 명시해 주는 일만 책임지면 된다.

따라서 전송계층의 식별자는 주소라고 할 것 까지는 없다. 이 식별자를 port 번호 라고 한다.

port번호는 16bit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2^16 = 65536개의 port번호가 있다.

0-1023 = well -known port이다(잘 알려진 특정 application의 server에 할당)

ex) HTTP server = 80번 포트

1024 - 49151 = registered port이다.(IANA가 관리 ,기관에서 요청하는 경우 정해진 절차에 따라 할당해 주고 이를 알린다.) registered port번호는 일반 클라이언트가 자유롭게 자신의 포트번호로 이용할 수 없다.

59151 - 65535 = ephemeral port이다. (제한 없이 client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port번호의 범위)

 

'[NETWORK]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6-1. TCP handshake  (0) 2020.05.18
[NETWORK]#6. TCP  (0) 2020.05.18
[NETWORK]#4.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0) 2020.05.18
[NETWORK]#3.OSI  (0) 2020.05.18
[NETWORK]#2.인터넷(INTERNET)  (0) 2020.05.18
    '[NETWORK]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6-1. TCP handshake
    • [NETWORK]#6. TCP
    • [NETWORK]#4.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NETWORK]#3.OSI
    자고일어나니코딩왕
    자고일어나니코딩왕
    열코!

    티스토리툴바